해리성정신장애(Disassociative Identity Disorder, DID)는 일반적으로 다중인격장애라고도 알려진 심리적인 장애입니다.
이 장애는 한 개체 내에서 둘 이상의 개성이 존재하고, 이들 개성 간에 기억, 인식, 정체성 등이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다음은 해리성정신장애의 주요 증상, 치료법 및 예방법에 대한 정보입니다.
■ 증상:
1. 다중인격: 개체는 둘 이상의 구별된 개성을 가지며, 각 개성은 고유한 이름, 특성, 기억 등을 갖고 있습니다. 이들 개성은 서로를 알지 못하거나 다른 개성으로 전환될 때 기억을 잃을 수 있습니다.
2. 기억 손실: 각 개성 간에 기억 공유가 부족하거나 불완전할 수 있습니다. 특정 사건에 대한 기억이 한 개성에만 제한되거나, 다른 개성으로 전환되면 기억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3. 정체성 혼란: 개체는 자신의 신분과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어렵게 느낄 수 있으며, 개성 간에 감정, 태도 및 행동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외상 경험: 많은 해리성정신장애 환자가 과거에 심리적인 외상을 경험한 경우가 많습니다. 외상은 이러한 개성 분리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치료법:
1. 정신요법: 해리성정신장애를 치료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정신요법입니다. 이는 인지행동요법, 인지재구성 및 정서조절 기술을 포함합니다. 목표는 안전하고 기능적인 개성 통합을 촉진하고, 외상 경험을 다루며, 개성 간의 소통과 협력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2. 약물 요법: 해리성정신장애 자체에 대한 특정 약물 치료는 없지만, 환자의 증상 관리를 위해 우울증, 불안, 수면 장애 등에 대해 적절한 약물 치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군중요법: 해리성정신장애의 원인이 되는 외상 경험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법 중 하나인 군중요법(Cohesive Therapy)은 해리성정신장애 환자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 치료법은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다중인격의 개성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예방법:
1. 조기 치료: 해리성정신장애는 조기에 식별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 단계에서의 진단과 개입은 개성 간의 충돌과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2. 외상 예방: 외상적인 상황을 피하거나 외상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보호되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잠재적인 외상 요인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심리적인 안정과 지지: 해리성정신장애 환자들은 심리적인 안정과 지지를 필요로 합니다. 가족, 친구, 전문가와의 지속적인 의사소통과 지원은 회복과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해리성정신장애는 복잡하고 개인마다 다양한 특징을 가지는 장애이기 때문에 맞춤형 치료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전문가와의 상담과 협력은 이러한 장애를 관리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건강 체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V 바이러스, 에이즈(AIDS) 의 현주소 는? 이제 에이즈는 치료 가능한가? (0) | 2023.06.30 |
---|---|
롱코비드 증상이란? (ft. 코로나 후유증) (0) | 2023.06.30 |
커피의 효능. (ft. 항암효과, 암예방, 심혈관 질환 예방, 항산화 성분) (0) | 2023.06.29 |
조혈모세포 이식 이란? (Ft. 혈액암, 백혈병, 림프종) (0) | 2023.06.29 |
틱장애 란? 증상, 치료법, 예방법은? (0) | 202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