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 체인지

여순사건 이란? (ft. 여수순천사건)

by NICE CHANGE 2023. 10. 20.
반응형

**여순사건이란?**


여순사건은 1948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당시 전라남도 여수시에 주둔하고 있던 국방경비대 제14연대의 군인 2,000여 명이 중위 김지회, 상사 지창수 등 남로당 계열 군인을 중심으로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 반란을 일으켜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사건을 말한다.

**여순사건의 배경**

여순사건의 배경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제1차 인민공화국 수립

1948년 9월 9일, 남한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에 반발하여, 북한에서는 9월 9일 김일성을 수반으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로써 남북은 분단되었다.

- 제주 4·3 사건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봉기 사건을 말한다. 이 사건은 남한 정부의 강제 징병과 토지개혁에 반발하여 발생한 것으로, 1954년까지 약 6년간 지속되었다.

- 여수·순천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

여수·순천지역은 당시 한국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였다. 또한, 이 지역은 남로당의 세력이 강한 지역이었다.


**여순사건의 과정**

여순사건은 1948년 10월 19일, 당시 전라남도 여수시에 주둔하고 있던 국방경비대 제14연대의 군인 2,000여 명이 중위 김지회, 상사 지창수 등 남로당 계열 군인을 중심으로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 반란을 일으키면서 시작되었다. 반란군은 여수시를 장악하고, 여순항에 정박 중인 군함을 나포하고, 인근 지역으로 진격했다.

여수시를 장악한 반란군은 김지회를 '민족혁명군 총사령관'으로 추대하고, '조선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또한, 여수·순천지역의 지주와 기업인들을 체포하고, 재산을 몰수했다.

여순사건은 반란군과 정부군의 치열한 교전으로 이어졌다. 정부군은 10월 24일, 여수시를 탈환하고, 10월 27일, 순천시를 탈환했다.


**여순사건의 결과**

여순사건으로 인해 약 1만 명의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또한, 약 1,000여 명의 군인과 경찰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 여순사건은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참혹한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여순사건의 의의**

여순사건은 한국 현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여순사건은 한국의 분단과 냉전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건이며, 한국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갈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또한, 여순사건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의 역사에서 중요한 계기가 된 사건이다.

**여순사건의 현재**

여순사건은 아직까지도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사건이다. 여순사건의 희생자와 유가족들은 여전히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을 요구하고 있다. 2022년 5월, 여순사건 희생자와 유가족의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여순사건의 희생자와 유가족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진상 조사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여순사건은 한국 현대사의 아픈 상처이다. 여순사건의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은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화해를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