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는 태양의 황경을 기준으로 춘분, 하지, 추분, 동지와 그 중간점을 기준으로 나눈 24개의 계절입니다.

24절기는 중국 고대의 천문학자들이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만든 것으로, 오늘날에도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24절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춘분(春分) : 3월 20일경, 태양이 적도를 가로지르는 날
* 청명(淸明) : 4월 5일경, 땅이 깨끗해지는 날
* 곡우(穀雨) : 4월 20일경, 곡식의 싹이 트는 날
* 입하(立夏) : 5월 5일경, 여름이 시작되는 날
* 소만(小滿) : 5월 21일경, 곡식이 가득 익어가는 날
* 망종(芒種) : 6월 5일경, 벼의 이삭이 패는 날
* 하지(夏至) : 6월 21일경, 태양이 가장 높이 뜨는 날
* 소서(小暑) : 7월 7일경, 여름이 절정에 이르는 날
* 대서(大暑) : 7월 23일경, 가장 무더운 날
* 입추(立秋) : 8월 7일경, 가을이 시작되는 날
* 처서(處暑) : 8월 23일경, 더위가 가라앉는 날
* 백로(白露) : 9월 7일경, 이슬이 하얗게 내리는 날
* 추분(秋分) : 9월 22일경, 태양이 적도를 가로지르는 날
* 한로(寒露) : 10월 8일경, 땅이 서서히 굳어지는 날
* 상강(霜降) : 10월 23일경, 서리가 내리는 날
* 입동(立冬) : 11월 7일경, 겨울이 시작되는 날
* 소설(小雪) : 11월 22일경, 하늘에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
* 대설(大雪) : 12월 7일경, 눈이 많이 내리는 날
* 동지(冬至) : 12월 22일경, 태양이 가장 낮게 뜨는 날

24절기는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고 그에 맞는 생활을 하기 위해 고안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봄에는 농사를 시작하고, 여름에는 더위를 피하고, 가을에는 추수를 하고, 겨울에는 추위를 피하는 것입니다. 24절기는 오늘날에도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주로 자연의 변화와 관련된 것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춘분은 봄이 시작되는 날이고, 청명은 땅이 깨끗해지는 날이고, 곡우는 곡식의 싹이 트는 날입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자연의 변화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우리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워줍니다.

● 24절기는 오늘날에도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24절기는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고 그에 맞는 생활을 하기 위해 고안된 것입니다. 24절기는 오늘날에도 우리에게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지혜를 전해주고 있습니다.
'교양 체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한미군 이란? 주한미군의 목적과 의미 는? 주한미군 은 언제까지 주둔해야 할까? (0) | 2023.07.16 |
---|---|
대만은 왜 중국에 휘둘리는가? (ft. 전쟁위협, 전쟁 가능성, 중국과 대만의 관계 및 역사) (0) | 2023.07.11 |
호우시 행동요령 을 알아보자! (ft. 호우주의보, 호우경보, 장마, 홍수, 물난리) (0) | 2023.07.11 |
글라디올러스 란? (0) | 2023.07.11 |
리투아니아 는 어디인가? (ft. 발트3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