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체인지54 한산대첩 이란 무엇인가? 한산도 대첩은 1592년 8월 14일(음력 7월 8일) 통영 한산도 앞바다에서 조선 수군이 일본 수군을 크게 무찌른 해전이다.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로 꼽히며, 조선 수군의 남해 제해권 확보와 임진왜란의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전투 배경 1592년 4월 일본은 수륙병진 계획으로 조선을 침략했다. 일본 수군은 4월 29일 부산에 상륙한 후, 5월 26일에는 한산도 앞바다에서 조선 수군을 격파하고 남해안을 장악했다. 이로써 조선 수군은 남해안에서 전투를 벌일 수 없게 되었고, 일본 수군은 조선의 수도 한양을 향해 진격할 수 있게 되었다. 전투 과정 일본 수군은 한산도 앞바다에 133척의 전함을 집결시켰다. 이들은 조선 수군의 함대를 격파하고, 한양으로 진격할 계획이었다. 이에 맞서.. 2023. 12. 21. 인간 이순신 은 어떤 인물인가?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알아보자. 인간 이순신 이순신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수군을 이끌고 혁혁한 전공을 세운 영웅으로, 오늘날까지도 대한민국 국민들의 존경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단순히 전쟁 영웅으로만 평가될 수 있는 인물이 아니다. 그는 뛰어난 리더십과 전술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면모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 이순신은 겉으로는 강인한 전쟁 영웅으로 보이지만, 내면에는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였다. 그는 일기와 편지 등에서 아내와 아들을 향한 사랑, 전사자 가족에 대한 애정, 백성에 대한 걱정 등 다양한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의 일기에는 아내의 병세를 걱정하는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특히 1592년 8월 27일의 일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아내의 병세가 위중하다고 했다. .. 2023. 12. 21. 노량해전 이란? 노량해전은 1598년 12월 16일(선조 31년 음력 11월 19일) 경상남도 남해현 노량해협에서 조선과 일본이 벌인 해전이다. 임진왜란의 마지막 해전이자, 이순신의 생애 최대 최후의 해전이다. 전투 배경 1598년 9월, 임진왜란의 주역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했다. 이에 따라 일본은 임진왜란의 종전을 결정하고, 조선에 철수하기로 했다. 그러나, 순천 왜성에 주둔하던 고니시 유키나가는 퇴각을 거부하고, 조선 수군을 격파하여 명예를 회복하고자 했다. 전투 과정 일본 수군은 노량해협에 450여 척의 전함을 집결시켰다. 이들은 조선 수군을 격파하고,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노량해협을 통과하기로 했다. 이에 맞서 조선 수군은 이순신과 진린을 총사령관으로 하여 133척의 배로 맞서 싸웠다. 전투는 16일과 17.. 2023. 12. 21. 원구일영 이란? 원구일영이란? 원구일영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휴대용 해시계입니다. 지름이 약 11.2cm, 전체 높이가 약 23.8cm 정도 되는 원구형의 해시계로, 어느 지역에서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과학기술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원구일영은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1981년 경기도 시흥시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원구일영의 구조 원구일영은 상단 반구와 하단 반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단 반구에는 시각을 표시하는 시각선이 있고, 하단 반구에는 북극고도 조정장치와 받침기둥, 받침대가 있습니다. 시각선은 상단 반구의 중심을 따라 비스듬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시각선의 각도는 북극고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북극고도란 지.. 2023. 12. 20.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