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체인지

금가격 더 오른다?? 골드만삭스가 올해 연말 금값 전망치를 온스당 3,100달러로 상향 조정

by NICE CHANGE 2025. 2. 18.
반응형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올해 연말 금값 전망치를 온스당 3,1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한 달 만에 기존 3,000달러에서 다시 100달러를 올린 것이다.

금값의 고공행진은 언제까지?


1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 리나 토머스와 단 스트루이븐은 최근 보고서에서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와 금 기반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자금 유입을 이유로 금 가격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보고서는 중앙은행들의 월평균 금 매입량이 50톤에 달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기존 예상보다 높은 수치라고 평가했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과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투기적 수요가 증가해 금값이 최고 온스당 3,300달러까지 오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 경우 올해 금값 상승률은 26%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금값은 지난해 급등한 데 이어 올해도 7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 그리고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투자자들의 금 매입을 촉진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보고서는 "관세를 포함한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투기적 포지션이 강화되면서 금값이 연말까지 온스당 3,30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인플레이션과 미국의 재정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 특히 미국 국채를 다량 보유한 중앙은행들이 위험 분산을 위해 금 매입을 더욱 늘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공식 부문의 금 수요는 108톤에 달했으며, 이 중 중국이 45톤을 차지했다. 현물 금 가격은 지난주 온스당 2,942달러를 돌파한 이후 최근 2,909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경우, 연말까지 금값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