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체인지

삼성은 다시 최고가 될수 있는가? CTO 송재혁 사장의 세미콘 코리아 연설에서 힌트를 얻어보자!

by NICE CHANGE 2025. 2. 19.
반응형

삼성전자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송재혁 사장은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 코리아 2025’에서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과 혁신 방향에 대해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송 사장은 자율주행 자동차, 양자컴퓨팅, 휴머노이드 로봇, 바이오 기술 등 차세대 핵심 기술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산업의 혁신과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CTO 송재혁 사장


송 사장은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뇌와 비교했을 때 저장 능력, 에너지 효율성, 사고 속도 등의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AI 모델의 정확도가 최근 5년 동안 32%에서 92%로 향상됐지만, 더 높은 성능과 효율성을 위해서는 반도체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인간의 뇌가 34억 년 동안 진화하여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유지하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반도체 기술이 이를 어떻게 모방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미콘 에서 기조연설 중


특히 AI 기술이 1950년 튜링 테스트 이후 80년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사고방식과 판단력을 완전히 모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AI 기술을 더욱 정교하게 만들기 위해 반도체 산업의 혁신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소재, 설비, 전자설계자동화(EDA),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 산업은 이제 단일 기업이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다”라며 업계 간 협업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현재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반도체 시장의 지형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범용 D램과 낸드플래시 수요를 넘어,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같은 AI 전용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또한, AI 가속기를 설계하는 기업들이 맞춤형 HBM 제품을 요구하면서 반도체 업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경쟁사인 SK하이닉스에 HBM 시장의 주도권을 내주고 있으며,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이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을 직접 만나 공급 협상을 벌이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시장 내 경쟁력 확보가 과제로 남아 있다. 또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에서는 대만의 TSMC와의 기술 격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사회 내 기술 전문성을 보강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18일 열린 삼성전자 이사회에서 송 사장은 사내이사로 내정되었으며, 신임 사외이사로 이혁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를 선임했다. 이는 반도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업계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어떤 혁신 전략을 펼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반응형